iPhone이 가진 매력적인 기능의 대부분은 iPhone만의 독특한 요금체계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AT&T에서 제공하는 Unlimited Internet Access 요금은 iPhone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있어(Wireless가 아닌 EDGE Network로) 무한한 잠재성을 부여했다. YOUTUBE라던지 구글맵은 끊임없이 인터넷을 읽어대야하기 때문이다. (iPhone만의 mobility를 위해서 캐시가 있다던가 하는 예외는 없다.) 필자가 궁금해하던 문제는 이 같은 iPhone을 Bluetooth나 Wireless Ethernet를 이용하여 라우터로 만든다면 온집안의 인터넷 기기를 iPhone EDGE를 통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는 진풍경을 보게될 수 있는데, 과연 AT&T에서 어떻게 해결할지였다. 왜냐면 대부분의 블루투스를 장비한 미국의 휴대폰은 GSM Modem via bluetooth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구닥다리 모토롤라 V3(레이저)만 해도 주머니에 넣은채로 노트북을 켜서 블루투스에 연결한다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반 요금으로 사용하는 살인적인 패킷사용료를 부과한다.) 해답은 AT&T에서 Apple에 압력(!)을 넣어 iPhone을 모뎀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집어넣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었지만, 여기서 보는 동영상에서는 AT&T에게 새로운 고민거리를 던지고 있다. AD-HOC을 이용하여 접속한다음 Proxy를 이용하여 Gateway의 효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아쉬운 점은 블루투스 접속도 지원했으면 하는 점이랑 RAS 표준을 지원한다면 Proxy가 아니라 윈도우 네트워크 공유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텐데라는 점이다. 물론 앞으로 이 모든 것을 지원하는 Homebrew가 나올 것은 시간문제라는 사실은 확실하다.
BLOG ARTICLE BLUETOOTH | 3 ARTICLE FOUND
- 2007.09.08 iPhone을 인터넷 라우터로 활용하자 3
- 2006.11.22 Wii 컨트롤러 PC에서 이용가능!! 14
- 2006.03.27 LEGO Mindstorms NXT pre-order 시작
iPhone이 가진 매력적인 기능의 대부분은 iPhone만의 독특한 요금체계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AT&T에서 제공하는 Unlimited Internet Access 요금은 iPhone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있어(Wireless가 아닌 EDGE Network로) 무한한 잠재성을 부여했다. YOUTUBE라던지 구글맵은 끊임없이 인터넷을 읽어대야하기 때문이다. (iPhone만의 mobility를 위해서 캐시가 있다던가 하는 예외는 없다.) 필자가 궁금해하던 문제는 이 같은 iPhone을 Bluetooth나 Wireless Ethernet를 이용하여 라우터로 만든다면 온집안의 인터넷 기기를 iPhone EDGE를 통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는 진풍경을 보게될 수 있는데, 과연 AT&T에서 어떻게 해결할지였다. 왜냐면 대부분의 블루투스를 장비한 미국의 휴대폰은 GSM Modem via bluetooth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구닥다리 모토롤라 V3(레이저)만 해도 주머니에 넣은채로 노트북을 켜서 블루투스에 연결한다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일반 요금으로 사용하는 살인적인 패킷사용료를 부과한다.) 해답은 AT&T에서 Apple에 압력(!)을 넣어 iPhone을 모뎀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집어넣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었지만, 여기서 보는 동영상에서는 AT&T에게 새로운 고민거리를 던지고 있다. AD-HOC을 이용하여 접속한다음 Proxy를 이용하여 Gateway의 효과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아쉬운 점은 블루투스 접속도 지원했으면 하는 점이랑 RAS 표준을 지원한다면 Proxy가 아니라 윈도우 네트워크 공유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텐데라는 점이다. 물론 앞으로 이 모든 것을 지원하는 Homebrew가 나올 것은 시간문제라는 사실은 확실하다.
위모트를 블루투스 노트북에서 조이패드를 쓸수 있다면 참 좋을 꺼 같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아이디어
다른 블로그들에 포스팅된 바와 같이 Wii 컨트롤러(일명 위모트)는 블루투스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럼 먼저 PC에 디바이스를 연결해보자.
디바이스 레벨로 넘어가기전에 RAWHID로서 접근을 시도해보았다. HID Device를 Regist한 다음 컨트롤러에서 입력시 WM_INPUT으로 넘어오는지를 체크했다. 다행히도 아직 알수는 없지만 RAW Data가 넘어온다!!
Raw Data의 유형은 매우 단순했는데 1BYTE Header + 2 BYTE 로서 각각의 BYTE는 방향키와 버튼의 조합값을 의미하였다. 다만, 모션센서의 값은 IR 바를 통해서 전송되는지 찾을 수가 없었다.
CES 인터뷰(Engadget)
Pre-order 사이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