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모트를 블루투스 노트북에서 조이패드를 쓸수 있다면 참 좋을 꺼 같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아이디어

Wii 구매 이후 만 이틀만에 Wii 컨트롤러를 PC에서 이용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다른 블로그들에 포스팅된 바와 같이 Wii 컨트롤러(일명 위모트)는 블루투스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럼 먼저 PC에 디바이스를 연결해보자.

각자 하드웨어에서 제공하는 블루투스 스텍을 이용하여 새로운 디바이스를 맞이할 준비를 한다.

준비가 되었으면, 위모트의 뒷면의 배터리 박스를 열고 Sync버튼을 눌러준다. 간섭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Wii의 전원 플러그를 뽑아둔다.

다음과같이 Nintendo RVL-CNT-01이라는 이름의 표준 HID장치로 잡힌다. 선택후 다음으로 넘어가면 디바이스 등록이 완료된다.

스텍에 Wii 컨트롤러가 연결된 모습. PC에 연결된 경우 컨트롤러의 1P,2P,3P,4P LED가 깜박이게 된다.

제어판의 게임 컨트롤러에 가면 위와 같이 블루투스 게임패드로 등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정작 Test에 들어가보면 장치에는 아무런 버튼도 방향키도 존재하질 않는다! 여기서부턴 어둠의 영역;;
디바이스 레벨로 넘어가기전에 RAWHID로서 접근을 시도해보았다. HID Device를 Regist한 다음 컨트롤러에서 입력시 WM_INPUT으로 넘어오는지를 체크했다. 다행히도 아직 알수는 없지만 RAW Data가 넘어온다!!

Raw Data의 유형은 매우 단순했는데 1BYTE Header + 2 BYTE 로서 각각의 BYTE는 방향키와 버튼의 조합값을 의미하였다. 다만, 모션센서의 값은 IR 바를 통해서 전송되는지 찾을 수가 없었다.

최종으로 테스트 프로그램 완성! 다음엔 트레이에 상주하면서 키보드나 게임패드에 SendInput을 보내는 버전을 제작할 예정이다.

AND

PS3 발매일에 혹시나 갔다가 95대 발매에 200명이상이 8시간전부터 줄을 서있는 것을 보고 충격에 휩였던 기억 때문에 가능하면 가고싶지 않았지만, 다시 한번 시도해보기로 하였다. 물량이 많은 대형 매장들은 사람들이 몰린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에 가능한 선전을 안하고 작은 매장에 아침 일찍 개장하는 곳을 물색했는데, 동네에 조그만 Wal-mart에서 Wii를 판다는 소문을 듣고 새벽 6시에 갔다. (7시 개장) 사람들이 줄을 서 있었지만 그다지 많은 편은 아니었고 27대가 있으며 기다리면 살 수 있기에 30분정도를 기다리니 경비원이 Voucher를 나눠주더라. 줄을 선 사람들은 대부분 아줌마, 아저씨들이었고 그들은 자식들이나 남편(!)들이 사달라고 졸라서 하는 수 없이 왔다고 한다.
012345678910
7시가 되어 들어가니 Customer Center에서 Voucher의 순번대로 판매를 하고 있었다.
일단 소프트없이 Wii Console과 컨트롤러 1개를 샀다.
Wii의 초기 기대치는 PS3에 비해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었으나, 앞으로의 행보는 주목할 만하겠다.
AND


그란투리스모 공식 사이트를 통하여 1080P 해상도의 스크린샷이 공개되었다. 그동안 논란이 되어왔던 해상도가 720P라던지 업스케일이라던지의 의문은 모두 해소되었지만(1920x1080 랜더링이 맞다), E3 2006에서 그란HD의 영상을 처음 목격했던 필자는 실스샷 이미지를 보구서 놀라움을 금할길이 없었는데 그 이유인즉,

그란투리스모 HD에는 Alpha Channel(투명도)이 없다.

이것은 AA(Anti-Aliasing)의 유무와는 다른 차원의 문제다. High Color시대와 더불어 Windows 98 GDI에 AlphaBlend API가 추가되면서 Alpha Chennel은 UI와 3D에 필수요건이 되어 버렸다. 특히 3D에 있어서 Alpha Channel은 이제 2D 스프라이트의 이펙트나 텍스쳐 등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불가결한 요소다. 하지만, 그란HD의 스샷을 한번 보자.

여전히 너무나 사실적인 화면이다. 하지만, 멀리 차가 보이는 풀숲 부분을 확대해보자.
뭔가가 느껴지지 않는가? 아니라면 좀더 확대해보자.
풀숲 부분에 망사스타킹처럼 녹색 그물이 쳐져 있는 것이 보일 것이다. 이것은 알파채널의 주사용 용도인 풀의 가상자리 부분의 알파채널값(값은 텍스쳐 데이터에 저장되어있음)이 그란투리스모 렌더러에 의해서 디더링된 결과이다. 올드게이머라면 이러한 테크닉에 익숙해져 있을 것이다.

일본 게임 그래픽 노가다의 대표작 Princess Maker 2. 16 color로 다채로운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해 디더링 도트노가다 신공을 사용하였다.

이번엔 다른 영상을 살펴보자. 역시나 실제 같은 영상이 펼쳐진다. 하지만, 멀리 건물의 테라스 부분을 살펴보면,
발코니 프레임 주위에서 디더링된 부분을 발견할 수 있다. 반대로 알파채널이 적용된 부분을 찾아보았으나 어떤 스샷에서도 발견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왜 PS3 게임 중에서도 최고의 그래픽으로 손꼽히는 그란HD가 알파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디더링이라는 원시적 기법으로 회귀한 것일까? 그 근본 원인을 꼽자면 풀 HD 해상도의 화소수에 있다. 일반적으로 픽셀당 8bit를 사용하는 알파 채널을 1920x1080화면에 뿌려진 모든 텍스쳐에 적용하면 어느정도의 비디오 메모리가 필요할까? 원거리 배경용 텍스쳐를 제외하고라도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PS3의 컴퓨팅 파워, Bus Speed, 그리고 메모리의 용량은 솔직히 1080P게임을 마음껏 만들기엔 무리가 있는 스펙이다. PS3는 게임의 그래픽에 화려한 이펙트와 다채로운 오브젝트가 등장한다면 720P가 적당하고, 시네마틱한 화면에 정적인 움직임을 원한다면 1080P로 만드는 것이 적절한 정도의 스펙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1080P 용 게임을 더구나 세밀한 그래픽을 요구하는 게임은 그에 합당한 제약요소를 감수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해도, 알파채널을 포기할만한 가치가 있을까? 라고 물어본다면, '그란HD 영상을 앞에서 보면서 풀숲의 디더링을 눈치챌만한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라고 반문하겠다. (사실 있을지도 의문이다. 관련된 포스팅은 본적이 없다.) 풀 HD의 해상도는 이미 인간의 눈으로 보기에 충분히 조밀한 해상도이다. 특별히 스크린이 50인치를 넘지 않는한 계단현상이나 그물망현상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결론은 일본게임은 20년이 지난 지금도 첨단 게임기에 도트노가다를 하고 있다는 사실.
AND

McGill University의 컴퓨터공학과가 주축이 되서 시작한 CSGames는 다양한 종목을 통해 공학도의 종합적(?)능력을 평가하는 철인경기류의 게임이다. 재밋는 건 경기 종목인데, 알고리즘과 AI와 같은 종목에서부터 밤눈(Eagle's Eye)을 겨루는 종목, 스포츠, 네트웍게임 등등이 망라되어 있다. 이들 게임종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승자를 정한다. 2006년 처음으로 시작하여 지금 2007년 지원자를 받는 중이다.

경기 종목
  • Algorithms
  • A.I. Part 1
  • A.I. Part 2
  • Scripting
  • Problem of the Day & The Challenge
  • Eagle-Eye Problem of the Night
  • Sports
  • Web Design
  • Scavenger Hunt
  • Debugging
  • Team Software Engineering
  • Surprise Competition
  • LAN Gaming
  • Cryptography
  • Group Game
  • ParticipAction
북미에 유학중인 CS 공학도들은 도전해봄직하다.

사이트 바로가기
AND

Web 2.0 시대로 오면서 사람들은 벌써 Web 3.0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차세대 웹서비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부분 중 하나는 멀티미디어 검색기능이다. MPEG-7으로 대변되는 이 기술은 동영상이나 이미지, 음악 등의 컨텐츠의 내용을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인덱싱하는 특징을 가지며, 검색의 쿼리형태 역시 텍스트에서 벗어나 Shape, Humming, Color 등이 될 수 있다.
오늘 소개하고자하는 Like.com은 이같은 검색의 걸음마단계의 서비스로서 가능성을 옅볼 수 있다.
Like.com은 상품검색엔진으로서 기존 서비스와는 다르게 상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검색을 할 수 있다.
사이트의 첫페이지에서 보여주는 연예인이 착용한 악세사리 검색은 "구라"다. 하지만, 미래의 검색이 보여줄 기능을 잘 서술하고 있다. 제니퍼 애니스톤이 착용한 팔찌를 분석하여 동일한 제품부터 비슷한 모양의 제품을 검색해준다니 멋지지 않은가!

내부에서 Vision과 Machine Perception을 사용하는 부분은 바로 물품의 검색 부분으로 원하는 물건의 모양과 비슷하지만 더 싼 물건이라거나, 특정 부분만 비슷한 모양인 제품들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모양에 다른 색상의 제품을 찾는 것도 가능하여, 쿼리부분에는 컬러선택창과 모양을 검색하기위한 선택창으로 되어 있다. 지금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지만 미래의 기술을 맛볼 수 있는 사이트로서 Like.com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

사이트 바로가기
AND

MS Virtual Earth goes 3D

ET News 2006. 11. 8. 07:05

University District에서 바라본 필라델피아 Center City.

Google Earth의 짝퉁(?)으로 불리기도 하는 MS Virtual Earth가 3D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시작했다. Google Sketchup처럼 개인이 개별적으로 올리는 것이 아닌, 중앙집중식으로 미국내 몇개 도시의 3D 데이터를 입력해놨다. 퀄리티는 3D 부분은 상상외로 뛰어난데, 텍스쳐가 많이 부실해서 확대해서 보기엔 무리가 있다. 재밋는건 최근에 나온 MS Flight Simulator X도 실제 지형 텍스쳐를 붙여놔서 척보면 구글 어스나 버철어스랑 구분이 가지 않을 정도다. (비행기가 떠있다는 것이 다른 정도)

장점 : 의외로 섬세한 3D 데이터. 중앙집중식으로 누구나 볼 수 있다.
단점 : 부실한 텍스쳐 데이터. 웹 ActiveX방식이라 반응성이 느리고, 무엇보다 캐시기능이 없다!!

사이트 바로가기
AND

잠잠하던 PS3 판매정보에 CC가 처음으로 불을 붙혔다. 발매일 17일 하루전인 16일 9시부터 지정된 6개 매장에서 이벤트를 시작하여, 10시에 줄을 선 고객중 상위 100명에게 판매확정 Voucher를 주고, 자정(17일 0시)에 100대를 판매한다. 하필이면 6개 매장 중 한 곳이 우리집 옆에 있을 줄이야;;; 16일이면 평일인데, 줄을 서서 사볼까하는 고민이...(becasue, PS3예판 Voucher는 Ebay에서 현재 2,400불에 거래된다.)

사이트 바로가기

AND



구글이 IPO한지도 벌써 2년이 넘었다. 구글은 그 당시에도 구글다운 실험을 신성(?)한 IPO에 적용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최저가입찰(Dutch Auction) 공모가 제도였다. (다만 본 스토리는 비화가 아니다. 하지만, 국내에 올라온 정보도 별로 없고 정확한 정보는 더더욱 없기에 그렇게 표현했다.)

일반적으로 초기 상장가는 주관사와 그외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일방적으로 결정되기 마련이었는데, 구글은 이같은 전통을 과감히 버리고 구매 희망자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주식을 입찰을 통해 판매한 것이다. 구글은 온라인상에 Online Auction을 오픈하고, 실구매자에게 가격을 Offer받았다.

흥미로운 사실은 최종 가격의 결정방식이었는데, Dutch Auction이란 이름대로 네델란드의 튤립경매에서 유례된 이 입찰 방식의 특징은 한정된 물품의 수량에 맞도록 최고가 구매자부터 판매수량을 확정해나가다가 마지막 수령자가 되는 최저가 수령자의 가격을 일괄적으로 적용하여 판매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00개의 스톡을 판매한다고 했을때,

- A가 300개를 100불에 Offer,
- B가 500개를 90불에 Offer,
- C가 100개를 95불에 Offer,
- D가 300개를 85불에 Offer,
- E가 200개를 75불에 Offer 했다고 치자.

그렇다면 최고가부터 수량을 더해보면
300(A)+100(C)+500(B) = 900에 85불을 제시한 D는 나머지 100개를 갖는 것이다.(E는 유찰)
그리고 A,B,C,D는 각자의 수량을 개당 85불에 구매하게 되는 것이다.(실제로 이 방식을 통해 상장가를 85불로 정했었다)

혹자는 최저가 입찰 방식이 구글이 가급적 많은 사람들이 주식을 갖게하길 바란다거나 Good Guy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을 했었었는데, 그렇지는 않다. 먼저 최저가를 정한 이유는 SEC에서 상장가는 모든 구매자에게 일정해야한다는 규약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위 예제에서 최대가로서 입찰을 한다고 상상해보자. A는 300개를 100불에 구매할 의향이 있었기 때문에 구매할 것이다. 하지만, B가 500개를 100불에 구매할까? 85불을 제시한 D는 어떤가. 100불에 구매할 의향이 있을까? 그렇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최저가로 낙찰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구글은 자신들의 가치를 구매자에게 맡기려 했던 것일까?

상장 전 100불이 넘는 공모가를 시도하려 했던 구글은 월가에서 분석된 가치가 80~95불 사이인 것에 불만이 많았었다. 그래서 자신들의 값어치는 좀더 높게 평가해줄 일반유저(라기보다는 구글 열광자)들에게 자신들의 가치판단을 맡긴 것이다. 이로서 발생하는 부수적인 이득이 또 있는데, 이는 주관사나 애널리스트들에게 발생하는 지출(관련경험이 있으면 알겠지만 상당히 크다. 특히 미국은 더욱..)을 줄여준다는 것이었다. (물론 그 당시 발생한 몇가지 이슈 때문에 공모가는 100불을 넘지 못했지만)

결론은, 구글은 IPO당시 엄청난 실험적인 시도를 했으며, 이는 위의 이유 때문이지 "정의" 또는 "좋은"이라는 수식어가 붙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같은 결정이 수반하는 Risk-taking을 할때 부수적으로 그들의-유저들이 Good Guy라 칭하는-기질(!)이 작용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AND


Renaissance Faire에서는 중세의 무기나 의류 외에도 보드게임을 판매하고 있었는데, 가죽으로 된 보드에 나무나 돌로된 말들이 중후한 멋을 내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게임들은 많은 수가 최근(Not 중세)에 개발된 것이라 아쉬움이 있었다. 하지만 국내에서 보기 드믄 게임들이 있으니 시간나면 게임룰을 훝어보는 것도 좋을듯. (각 게임제목에 링크 올려놨습니다.)

AND

중세의 거리 뿐만 아니라 거지까지 완벽재현

1달전쯤 갔었던 Renaissance Faire는 우리나라로 치면 민속촌 같은 곳으로, 중세시대 문화를 체험해볼 수 있는 색다른 경험이었다.

엘프삘 나는 소녀. 역시 동양인의 어설픈 코스프레(기술적으로가 아니라 신체구조상)와 대비된다.

관람객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이 중세시대 풍의 옷이나 갑옷을 입고 돌아다니고, MMORPG에서나 나오는 무기상점이나 상어구 상점등이 즐비하게 펼쳐져있다. (실제로 구입도 가능하다. 물론 현거래만 가능 ㅎㅎ)

Novice 저렙을 위한 무기들

012

현피(!) 뜨는 곳. 맞힌 풍선수로 점수를 카운트 한다.

방어구 상점의 물건들.

중세시대 의복도 판다. 물론 진짜로.

활 상점에 놓여진 활들.

우리나라 민속촌과 다른 한가지는 상당히 많은 수의 관광객들이 중세 코스튬을 입고 온다는 사실이다. (입고오면 입장료를 받지않는다;;) 유모차에 탄 애들도 중세복장을 하고 오는 걸 보면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그램의 의도가 나쁘지 않아 보인다.

진흙으로 작품을 만드는 예술가. 퀄리티가 상당하다.

위치는 PA의 필라델피아 북부 76번 도로를 타고 북쪽으로 1시간반정도 가면 있다. 언제나 하는 것은 아니고 9~10월 사이에 열리는 듯 하다. 중세 문화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강추.

사이트 바로가기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