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forums.xna.com/forums/t/37129.aspx

XNA로 MMO게임을 만들 수 없을까에 대한 잡설들인데, 읽다보니 재미있다. XNA게임 특히 Xbox 360으로 배포되는 게임의 경우 M$는 보안이나 기타 이유로 인하여 다양한 제약을 걸어둔다.

- 네트워크 API로 특정 IP로 접속하는 기능이 없다. (무조건 Live 서버로 접속됨)
- 라이브서버 특징상 한방당 32명 정원
- 방은 Persistance하지 않다. (인스턴스하다. 서버 내에 뭔가를 남길 수가 없다.)
- 정보역시 유저 로컬에 쌓이지 서버레벨에서 저장할 방법이 없다.
- 퍼블리시된 게임은 같은 게임끼리만 통신이 가능

이런 제약에도 불구하고, 포럼에 등장한 다양한 아이디어는,

- 여러대의 엑박을 서버로서 켜두고 Persistant하게 만들자
- 32명 정원의 공간을 여러개 만들어 잇자

하지만, 이정도로는 문제가 있는것이 같은 게임에서 다양한 공간이 만들어질 방법이 필요하고, 유저정보를 저장할 서버레벨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생각해보건데,

1. 한 게임내에 여러 공간에 대한 정보를 넣는다.
2. 게임의 로직에 따라 처음 실행되면 해당 게임의 네트웍 로비의 갯수를 센다
3. 공간갯수 Constant 값, MAX_SPACE으로 이어질 공간의 갯수만큼 없을 경우 자동으로 32명 정원 서버가 되며 방이름(혹은 갯수)정보에 맞는 위치의 공간으로 로드된다.
4. 방 갯수가 MAX_SPACE 값이 넘어갈 경우 자동으로 게임인트로가 나오며 게임이 실행된다.
5. 서버로 할당된 초기 MAX_SPACE 만큼의 서버는 들락거리는 유저의 정보를 내부 콘솔에 쌓아두고, 해당 위치 내에서의 모든 행동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퀘스트 수행여부.
6. (세이브가 해킹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유저의 아이템이나 기타 정보들은 로컬에 저장된다.
7. 특정 위치 (문이나 계곡 입구)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로드되며 해당 방으로 이동한다. 정원초과인 경우 메시지를 보여준다.

해당 게임이 심사를 통과해서 퍼블릭으로 나오면, 운영자(개발자)는 재빨리 준비해둔(?) 콘솔들을 켜고 먼저 게임을 다운 받아서 실행한다. (그리고, 그 콘솔들은 영원히 끌 수 없다;) 한명이라도 다른 유저가 먼저 실행하면 방이 없어질때까지 가동이 불가; 따라서, 일반 유저들은 1,2,3을 보지 못한채 MMO게임을 즐기게 되지 않을까라는 상상을 하게 됐다는 얘기.

덧으로, 초기 콘솔에는 유저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는 화면이 뜨고 운영자가 이를 수기로 기록해서 합산한다음 별도 서버에서 랭킹을 매길 수도 있겠다는 생각까지.

AND

일부업체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던 모노 플렛폼하의 아이폰 개발이 공식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모노 홈페이지에는 8월4일자로 모노터치라는 아이폰기반의 모노 플렛폼을 공개하였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은,

- 아이폰 개발자 프로그램(기존 아이폰 SDK에서 사용하던 App Identifier나 Provision를 사용한다)
- 아이폰 SDK(UI 개발툴로서 인터페이스 빌더를 사용하기 때문)
- 인터페이스 빌더(아이폰SDK에 포함되어 있음)
- Mono 맥용 런타임 라이브러리
- Mono Develop 2.2 Alpha+
- MonoTouch

위 사항중에서 모노터치는 비공개정책으로 인하여 구할 수가 없어, 대충 인터페이스를 훝어보니,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기존 아이폰 개발자가 가진 Bundle Indentifier나 개발자 Signature를 프로젝트 속성에서 설정
- UI 디자인은 인터페이스빌더를 차용했음
- 따라서 전체적인 패턴은 코코아 개발과 다를바가 없음
- 획기적인 점은 Xcode와는 다르게 UI에 따라 자동으로 코드가 생성됨!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만, 모노터치가 없어 컴파일은 불가능했음. 9월 공개라니 기대를 해볼만 하겠음.

사이트 바로가기
AND

Silverlight 용 DeepZoom 지원 클래스들은 별도의 Wrapper가 없으면 활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몇달전에 만들어본 라이브러리. Container 패턴으로 되어 있어서 UIElement들을 담을 수 있으며, 담겨진 UIElement들은 DeepZoom의 Zooming Condition을 그대로 따라서 축소, 확대, 이동이 된다. 적용이 불편한 휠지원도 그냥 집어넣었고, 푸쉬핀도 별도 UIElement 하위클래스로 제작했다. 도대체, js용 DeepZoom은 푸쉬핀이 있는데 Silverlight용은 왜 없는것인지.. 결과는 생각보다 괜찮더라. 구글맵이 살아움직이는 식으로 돌아간다. 웹게임 인터페이스로 쓸려고 만들었는데, 기타 실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겠다. Silverlight 2 이상 개발 환경에서 돌아간다.

덧> 텍스트큡에서 Silverlight 삽입하는 플러그인이 필요하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삽입이 안되네..

DeepZoomContainer 프로젝트 메인 바로가기

예제 보기 (Silverlight 2 플러그인 필요)
AND

사용자 삽입 이미지
Tech48은 모에 3D게임으로 유명한 티타임의 최신작품으로 웹캠을 이용한 해드트래킹을 주요 인터페이스로 한다. (해드트래킹은 일전에 소개한 적이 많다) 유저가 모니터를 중심으로 시점을 이동하면 마치 입체와같이 화면이 해당시점을 보여주게 된다. 몇번이나 비유를 들었던 치마 들춰보기가 실현되는 순간..



Tech48 사이트 바로가기
Eyedentify for PS3 by SCEI
위모트를 이용한 해드트랙킹 데모
PS3 EYE를 이용한 해드트랙킹 데모
컴퓨터를 얼굴로 로그인한다 - 레노보의 VeriFace
EyePet :: TV속의 애완동물

AND

무슨 말이 필요하랴. 핀란드 출신 초천재 Memon군(처음 봤을때는 중학생나이였지만 지금은 이미 20대 중반일듯)이 아이디어를 내고 직접 코딩한 Zen Bound라는 퍼즐게임이다. DOS Protected 모드시절에 개념조차 없던 카툰렌더링으로 만들었던 양들의 결투 데모를 보면서 숨넘어갔던 기억이 아직도 새록새록하다. 크라이텍 리드 프로그래머로 있었는데 또 새로운 도전을 하는구나. 정말로 도전받게 하는 친구.
AND

MIX09에서 발표된 Silverlight 3는 이미 10을 넘어버린 경륜의 플래시와 대적하기 위해 몇가지 차별점을 만들었다. HD지원이나 Smooth Streaming같은 내용은 이미 다른 사이트에서 언급을 했으므로, 언급되지 않았던 몇가지 의미있는 기능들을 살펴보자.
  • Pixel Shader Effects : 한참 전 부터 지원되었어야 하는 기능인데, 이제서야 등장했다. fx 파일을 import해서 다양한 효과를 제작하고, 적용할 수 있다.
  • Perspective 3D Graphics : WPF Transform 공통의 문제였는데, 3D Transformation Matrix를 제공하지 않아 2.5D이상의 공간감을 내기 어려웠으나 해결되었다.
  • Bitmap HitTest : 이 부분은 아직 확실하지는 않은데, 왜냐면 새로 생긴 WriteableBitmap(이거 스펠링은 맞는건가??) Class를 사용하여 내부 Pixel정보를 보거나 쓸 수 있는데 현재 Beta버전에서는 엑세스 하려는 경우 Null 에러가 난다고 한다. (by andy.beaulieu)
  • Bitmap Cache : 역동적이지 않은 벡터요소를 비트맵으로 굳혀놓는 기술. 이런 요소가 많아야 개발자에게 사랑받는 RIA 플렛폼이 된다.
행여나 기대했던 MIDI지원이나 PathAnimation같은 요소는 등장하지 않았다.

사이트 바로가기
AND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끔 Excel Freak들이 만든 장난질에 경악을 금치 못했었지만, 이번건 특히 흥미롭다. RPG.XLS라는 이름 답게 엑셀로 만들어진 RPG게임이다. 필드를 돌아다니는 것은 물론이고, 스크롤과 마우스이동, 세이브, 스토리, 전투 없는게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동 화면

각 블록은 엑셀의 Cell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캐릭터는 블록 단위로 이동한다. 재밋는 것은 마우스로 한 지점을 클릭하면, 그 셀이 선택이 되면서 캐릭터가 그 곳으로 길찾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동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테이지 에디터

RPG.XLS는 별도의 맵에디터를 제공하여 유저들이 자유롭게 게임을 개조하고 테스트해볼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본 게임 전체 필드

또한, 아이템이나 오브젝트를 만들 수 있는 환경도 제공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템 매니저, 오브젝트 매니저

게임 개발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나 초보 기획자들이 가지고 놀기에 좋은 물건 발견!

사이트 바로가기


RPG.XLS 다운 받기
AND

2008년은 MMO시장에서는 작은 차이가 큰 결과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보여준 한 해가 아닐까 싶다. 헬게이트 런던과 타뷸라라사의 몰락으로 우리는 유명 디렉터가 흥행의 보증수표는 아니라는 사실을 깨닳았고, 와우의 롱런과 NC소프트의 아이온의 성공을 통해 혁신보다는 발란스와 규모의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2009년에는 아직 그리 눈에 띄는 타이틀이 없지만, MMO 발전에 의미가 있을만한 타이틀 2작품을 소개해본다.

1. Star Wars : The Old Republic (TO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토르(TOR)로 불리는 이 타이틀은 루카스 아츠와 바이오웨어의 MMORPG이다. RPG게임의 명가인 바이오웨어가 만드는 최초의 메이저 MMORPG이기 때문에 기대가 되지 않을 수 없다. 토르의 최대의 특징은 바로 스토리텔링에 있는데, 유저들이 똑같은 퀘스트를 수행하는 기존MMO와는 달리 토르에서는 유저들이 각기 다른 흐름의 자신만의 스토리를 진행하게 된다고 한다. 스타워즈의 특성상 주인공의 선택에 따라 선과 악으로 나뉘는 세계관을 적용하여 선과 악의 갈림길에서 나의 선택이 나를 재정의하게 된다는 것이다.

아직은 스토리 분기에 대한 자세한 스크린 샷은 존재하지 않지만, Next-gen MMO시장이 동적 스토리텔링으로 갈 것이 분명한 이 시점에서 토르는 "최초"라는 타이틀을 달게 될 작품임은 분명하다.

사이트 바로가기

2. LEGO Univer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NetDevil에서 개발 중인 이 작품 역시 아직은 베일에 쌓인 작품이지만, 코타쿠 인터뷰를 통해 몇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 레고의 기본 특성인 Create를 잘 살린 게임이 될 것이라는 점.
  • 따라서, UCC의 특성을 가지게 될 것이라는 점. (UGG일지도..)
  • 와우같이 하드코어유저가 아닌 메인스트림을 공략하는 -외부 컨텐츠가 아닌-북미 최초의 MMO라는 점.

사이트 바로가기
AND

아직도 조금 생소한 개념인 대체현실게임(Alternative Reality Game)은 3D 그래픽이나 게임 컨트롤러를 통하지 않고, 소셜미디어와 현장이벤트를 통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국내에서도 이미 많은 기업이 대체현실게임을 자사 제품의 프로모션에 이용한 바 있다. 대체현실게임의 선구자 격인 Jane McGonigal이 BusinessWeek 인터뷰를 보면 앞으로 대체현실게임과 기업과의 관계가 어떻게 발전될 것인지를 옅볼 수 있다.
흥미로운 내용만 요약해보면,
  • Multicapitalism(다양한 분야의 자본이 융합되는 형태) 언급에서 Social Capital얘기를 했는데, 과거 유저수가 Social Captial이던 시대에서 실사용자수, 그리고 참여하는 유저 클라우드의 지향성과 퀄리티로 발전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 사실 BusinessWeek에서 가장 궁금한 포커스는 한창 피크를 찍은 노이즈 마케팅이나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프로모션에 얼마나 도움을 주냐겠지만, Jane은 대체현실게임이 기업주도로 발생하는 프로모션의 도구보다는 반대로 사회적 이슈를 만드는 이슈메이커의 역할을 수행하고 기업이 이에 동참하는 포멧을 얘기한다.
  • 현재 진행중인 Jane의 이슈메이킹 게임은 Superstruct인데 과거 게임인 World Without Oil부터 '세계평화와 인류번영'스러운 주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번 주제는 2019년에 처한 인류멸망의 위기를 어떠한 방법으로 탈출할 것인가 이다. 현재 8000명정도가 참여하는 이 게임에서 다양한 사회/문화/예술/범죄 등등에 가상 시나리오가 펼쳐지고 있다.
BusinessWeek 사이트 바로가기
Superstruct 사이트 바로가기
AND

* 이전 포스팅을 하고나니 차세대 Display 포스팅 중에 Volumetric Display부분이 없는 거 같아 보충하는 차원에서 올립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ctuality System社의 Perspecta Spatial 3D

Volumetric Diaplay는 3D Display의 일종으로 눈의 착시 현상을 이용한 Stereoscopic Display와는 달리 실제 공간에 빛을 쏘아 입체적인 빛의 흐름을 만드는 장치이다. 따라서 별도의 안경을 써야할 필요가 없으며, 시청자들이 움직임과 관계없이 모든 시점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예를 들자면, 짧은 치마의 여성 컨텐츠를 보면 본능적(?)으로 몸을 숙여 아래서 위를 보려고 할때, 기존 디스플레이는 아무것도 더(?) 볼 수 없지만 Volumetric Display는 물체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볼 수 있다는 차이라고 보면 되겠다. 이 방식은 앞서 포스팅에서 말한 것과 같이 대중화가 힘든데, 일단 기술들이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있고 입체로 보이는 공간이 폐쇄적이거나 기계의 덩치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구용이나 기업 홍보용으로 쓰기엔 서서히 물이 오르기 시작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상용화 가능 제품을 위주로 리뷰를 해 보았다.

1. Perspecta Spatial 3D


영국의 Actuality System이 개발한 Perspecta Spatial 3D.
마법수정 같은 구체에 회전하는 디스플레이를 입혀서 Volumetric 3D Diaplay를 구현하였다. 원리는 원판형 768x768 디스플레이를 회전하여 198 slice/360°라는 단위로 쪼게어 다른 시점별로 랜더링하는 방식이다. 초당 1회 회전한다면 198 프레임을 뿌려줘야 한다. 디스플레이는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폐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크기에 제약이 있어보이지만, 퀄리티에 있어선 최고수준이다. 회사도 의약분야를 주타겟으로 삼고 있다.

2. Interactive 360° Light Field Display


상용제품은 아니고 USCICT(Institute for Creative Technologies)가 Sony의 스폰서를 받아 제작한 것으로 기본 원리는 Perspecta Spatial 3D와 다르지 않다. 원판 디스플레이 대신 45°거울을 사용하며 특이한 점은 화상통화등의 응용연구를 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만들기 위해선 모든 회전각에 대한 촬영을 하거나 아니면 3D 스캐닝을 통하여 Mesh정보를 받고 Face Detection과 Tracking을 통하여 얼굴의 움직임을 3D상에서 변화시켜주면서 랜더링하는 방법을 쓰는 것 같다. (화면을 보면 가끔 입이 돌아가거나 Vextex가 튀는 장면이 목격된다.)

3. HoloVizio


헝가리 벤쳐회사인 Holografika는 VOXEL방식을 통하여 Volumetric 효과를 구현하는 HoloVizio 128WLD720RC를 판매중이다. 이 방식은 액정을 3D로 만드는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3차원 Array로 LED를 쌓아올려 Z축이 다른 픽셀은 시청자의 시점이동시 다르게 움직임으로 심도를 느끼게 한다. 이 방식은 스크린에 투영되어 보이기 때문에 시청각에 한계가 있다. 4개의 DVI-D를 통해 각각 다른 Layer의 디스플레이판넬에 정보를 전달한다. OLED 3D Array 제조공정 기술이 개발된다면 현실적으로 대중화가 가능한 기술로 평가된다.

4. VisualCube


HoloVizio와 흡사한 3D Array의 이 제품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789USD)로 Volumetric 3D를 구현한 제품이다. 6x6x6의 다소 부족한 픽셀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Array로 묶어서 쇼윈도우나 무대장치에 활용해볼만한 가치가 있어 보인다.

5. Cheoptics 360


덴마크의 벤쳐회사인 Vizoo에서 개발한 이 디스플레이는 어떤 원리인지 감을 잡기 힘들다. 다만, 4면으로 45° 각도의 투명유리가 역 피라미드 형태로 놓여있는 것으로 보아 4면에 각각 영상을 쏘아 각도에 따라 보여지는 것을 예측된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자면 Volumetric Display는 아니다.) 하지만, 다소 저렴할 듯한 기계와 소스제작의 간편함(이 경우 4개의 카메라만 있으면 큰 무리없이 제작이 가능)이 기업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해 보인다.

Volumetric Display가 상용화되는데는 큰 걸림돌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컨텐츠 제작의 어려움이다. 일반적인 영상 컨텐츠의 경우, 적합한 스테이지를 제작하고 시간에 따라 다양한 카메라워크에 따라 소스를 만들고 편집하면 끝이다. 하지만, Volumetric 컨텐츠의 경우 언제나 모든 시점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무대설치시 모든 시점에 빈틈없이 무대를 설치해야하고, 촬영장비를 잘 숨겨야만 하게 된다. 또한, 3D 스켄을 통하여 무대와 배우 모두 3D 상태를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송장비는 모두 무용지물이 된다. 또한, 스타들의 정확한 3D정보가 컨텐츠에 저장되기 때문에 다양한 저작권위법 사례가 나올 수 있다. 흔히 말하는 포샵질을 통한 연예인합성 문제는 Volumetric 컨텐츠에선 새발의 피가 된다. 남자 배우 대신 내가 대신 주인공이 되어 영화에 출연할 수 있으며, 스타들의 모션데이터를 조작하여 수많은 복합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새로 영화를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Volumetric Display는 근 미래가 Stereoscopic Display로 상용화가 이루어진다해도 언젠가는 최후의 디스플레이로서 발전되어 사용될 것이 분명하다.

* 관련 이전 포스팅
- 차세대Display : nVidia Geforce 3D Vision
- 차세대Display : LUMUSVISION
- 차세대Display : HDR Display
AND